세종은 행정수도로 자리 잡았지만 도시 속 전통문화도 잘 보존된 곳입니다. 그 대표 예가 바로 세종 오일장입니다. 신도시 한가운데에도 남아 있는 오일장 덕에, 여행자와 지역민 모두 옛 감성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종 5일장 주소, 장날, 맛집 정보 등 안내드리겠습니다.
세종 오일장 주요 정보
매월 정해진 날에만 열리는 5일장은 큰 축제 같은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 글에서는 조치원, 대평, 전의, 부강 등에서 열리는 세종 오일장을 모두 소개드립니다. 여기에는 장터 특성과 현지 맛집, 유용한 정보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1. 조치원장
조치원읍 중심에 있는 세종전통시장은 매월 4일·9일·14일·19일·24일·29일에 세종 오일장 기능이 함께 열립니다. 점포 수는 약 300여 개로, 채소·과일·수산물·공산품까지 품목 구성이 다양하고 활기가 넘칩니다. 5일장 날에는 천안, 공주, 대전 등 타 지역 상인까지 모여들어 북적입니다. 시장 골목 곳곳에는 씨앗호떡, 떡볶이, 짜장면 등 오일장 먹거리도 풍성합니다. 풍성한 먹거리와 볼거리가 한데 어우러지며 세종 오일장의 대표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조치원8길 42
- 장날 매월 4일 / 9일 / 14일 / 19일 / 24일 / 29일
2. 대평장
금남면 대평동 한가운데 위치하며, 상설시장과 오일장 기능이 결합된 세종 오일장입니다. 매월 2일·7일·12일·17일·22일·27일에 열리며, 과일·채소·생활용품 위주의 실용적인 장터입니다. 대전과의 접근성이 좋고 인근 금강자연휴양림 덕에 관광객도 많이 찾는 세종 오일장입니다. 시장 주변에는 공원과 문화자원도 많아 장터와 함께 산책이나 체험도 가능합니다. 세종 남부권 주민에게는 중요한 생활터전이자 문화 공간 중 하나입니다.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대평시장1길 17‑2
- 장날 매월 2일 / 7일 / 12일 / 17일 / 22일 / 27일
3. 전의장
전의면 중심가에 있는 왕의물시장은 매월 2일·7일·12일·17일·22일·27일에 열리는 전통 오일장입니다. 1946년 이후로 이어진 역사가 있으며, 농민들이 직접 재배한 품질 좋은 농산물과 자연 먹거리가 주력입니다. 장터 주변에는 전의향교, 운주산성 같은 문화유산이 있어 장과 여행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소규모지만 깊은 정과 푸근한 인심 덕에 매 장마다 온기 가득한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장터길 33
- 장날 매월 2일 / 7일 / 12일 / 17일 / 22일 / 27일
4. 부강장
부강면 중심지에서 열리는 부강전통시장 오일장은 매월 5일·10일·15일·20일·25일·30일에 열리는 세종 오일장입니다. 소금, 건어물, 젓갈류 등 과거 금강을 통한 물자 거점 역할을 하던 역사 깊은 장터입니다.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 초까지 많은 상인들로 붐볐던 명성을 이어가는 곳입니다. 지금은 농산물과 생활용품 중심으로 내용이 바뀌었지만, 전통과 인심은 여전합니다.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5길 18
- 장날 매월 5일 / 10일 / 15일 / 20일 / 25일 / 30일
5일장 맛집
신탄진시장 맛집
조치원(세종전통시장)
. 홍반장 떡볶이
. 주소 세종시 조치원읍 조치원8길 44 (시장 입구)
. 내용 즉석 떡볶이와 오뎅이 인기이며 매콤달콤한 국물이 특징입니다. 바삭한 튀김과 세트로 즐기면 든든한 한 끼 식사가 됩니다. 현지 학생과 어르신들에게도 입소문난 명소입니다.
. 수제 씨앗호떡 노점
. 주소 조치원시장 골목 통로
. 내용 겉은 바삭, 속은 달콤한 씨앗호떡이 대표 메뉴입니다. 줄 서서 사 먹는 장터 인기 간식이고, 포장해서 여행 간식으로도 좋습니다.
대평시장
. 대평 감자전집
. 주소 세종시 금남면 대평시장1길 19
. 내용 감자전과 빈대떡이 대표 메뉴로 두툼하고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고소한 기름 향이 일품이며 장보기 전·후 한 상차림으로 추천입니다.
. 대평 국물떡볶이
. 주소 금남대평시장 주 출입구 옆
. 내용 묵직하고 걸쭉한 국물이 특징이며 면이나 떡, 튀김을 곁들여 맛볼 수 있습니다. 매콤한 국물 덕에 추운 날씨에 특히 인기입니다.
FAQ : 오일장 주요 질문
Q1. 세종 오일장마다 주차는 편한가요?
A1. 조치원(세종전통시장)은 지하·노상 공영주차장이 마련돼 있어 주차 편의성이 높습니다. 대평과 전의, 부강시장도 면단위 중심지에 위치해 있어 무료 또는 유료 공영주차장이 충분히 구비돼 있습니다. 다만 장날 오전 9시 이후에는 주차장이 빨리 차고, 일부 골목 주차는 협소할 수 있으니 이른 방문(8~9시 사이)을 권장드립니다. 버스 노선도 잘 발달돼 있어 대중교통 이용도 편리한 편입니다.
Q2. 카드 결제도 가능한가요?
A2. 대부분의 상설 점포와 일부 식당, 수공예품 상점은 카드·제로페이·지역화폐 결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떡볶이, 호떡, 감자전 등 노점 간식류는 현금만 받는 경우가 많으니 동전과 지폐 준비가 안전합니다. 시장 입구나 근처 편의점, 은행 ATM에서도 현금 인출이 가능해, 예비 준비도 수월합니다.
Q3. 비 오는 날에도 세종 오일장은 열리나요?
A3. 네, 기본적으로 우천 시에도 정상 운영됩니다. 다만 천막 설치가 부족한 노점은 운영을 축소할 수 있으니 먹거리 위주 방문객은 상설 구역을 이용하시면 좋습니다. 조치원과 대평시장은 지붕이나 차양이 잘 되어 있어 비 걱정 없이 장 보실 수 있습니다. 우산이나 우비, 여분 신발을 준비하면 비 오는 날에도 불편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Q4. 세종 오일장에서 꼭 사야 할 추천 특산품은 무엇인가요?
A4. 조치원시장에서는 수제 장류(된장·고추장) 및 씨앗호떡 같은 별미 간식이 인기입니다. 대평시장에서는 감자전, 국물떡볶이, 제철채소와 지역 농산물이 대표적입니다. 전의왕의물시장은 토종 농산물과 전통 장아찌, 손두부가 장터 인기를 끕니다. 부강시장에서는 젓갈류, 건어물, 전통 장류 등 오랜 전통이 느껴지는 상품이 많습니다.
마치며
세종 오일장은 조치원·대평·전의·부강 등 네 곳에서 정기적으로 열립니다. 각 장터는 세종 오일장이라는 키워드 아래 계절별 특색과 지역 문화를 모두 보여주는 공간입니다. 시장 안팎에서 만나는 다양한 먹거리와 사람들의 인심이 장터의 매력입니다. 세종 여행 중 장날을 맞춰 방문하면 특별한 경험과 추억이 함께 할 것입니다.
📍함께보면 좋은글